국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멜론이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면서도 점유율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유튜브 뮤직, 지니, 플로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올해도 치열한 경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skt 플로(flo)는 개인화 서비스를 계속해서 개선하면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skt 플로(flo)>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skt 플로(flo)는 후발주자로서 빠르게 점유율을 늘리기 위해서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시행합니다. skt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 부터 ott 서비스 웨이브와 콜라보를 통한 결합할인 상품도 선보였는데요. 플로 무제한 X 베이직이라는 요금제는 웨이브의 베이직 상품과 무제한 스트리밍이 가능한 플로의 올인원 무제한 듣기 상품을 결합하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이 밖에도 skt 플로(flo)는 기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와는 다르게 꾸준히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선하는 모습입니다. 일단 올해 상반기에 플로(flo)는 한 시간 단위 기존 실시간 차트를 폐지한다고 말했는데요. 작년에는 특히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실시간 차트를 두고 신뢰도가 상당히 떨어진 상황이었습니다. 이 가운데 플로는 실시간 차트 대신 24시간 누적 기준 차트에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한 플로 차트를 선보였는데요. 차트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것과 함께 개인만을 위한 차트도 마련합니다.
skt 플로가 선보인 편애차트의 경우는 공정성을 높인 플로차트에, 해당 이용자의 재생 이력 및 선호를 반영한 취향 기반의 새로운 차트로 Top100곡이 취향 순으로 재정렬되어 최신 트렌드를 확인하면서도 동시에 내 취향에 맞는 순서로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했습니다. 이처럼 개인의 음악 취향을 존중하면서도 원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모습인데요. 그리고 skt 플로(flo)는 내 취향 MIX 기능 도입과 함께 마이크로 개인화와 취향 기반의 음원 소비라는 플로의 방향성을 알리는 브랜드 캠페인도 진행합니다. 개인화는 모든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데 플로도 갈수록 더 세밀하게 개개인의 취향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노력하고 있었습니다.
skt 플로(flo)가 할인, 제휴 상품등의 프로모션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맞춤형 개인화 음원 서비스를 강화하는 가운데 남은 하반기와 내년에는 어떤 행보를 보일지 주목하게 됩니다.
'앱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협업툴 이용 현황_화상회의 줌, 네이버 웍스, 카카오 워크 등 소식 (0) | 2020.11.12 |
---|---|
중장기 숙박 플랫폼 미스터멘션, 제주도 한달살기에 집중하다 (0) | 2020.11.09 |
글로벌 이용자 월 500만 돌파한 에듀테크 기업 콴다 앱 (0) | 2020.11.01 |
누적 송금액 9천억의 센트비 송금 서비스, 이제는 글로벌 서비스로 (0) | 2020.10.31 |
중고거래도 이제는 비대면 중고거래, 중고거래 사이트 헬로마켓의 변화 (0) | 2020.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