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체크

핀테크 기업 카카오페이 증권의 빠른 성장세 및 카카오페이 자산관리 서비스 확대

반응형

'핀테크 기업, 카카오페이 증권의 급성장'

핀테크 기업, 카카오페이증권은 카카오페이 머니 업그레이드를 통한 증권 계좌 개설 수가 정식 서비스 개시

채 한 달도 되지 않은 3월25일 50만 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는데요.

카카오페이 증권은 지난 2월27일부터 증권 계좌 업그레이드 정식 서비스를 실시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주가 하락 등 어려운 대외 환경 속에서도 6일 만에 증권 계좌 수 20만 개를 돌파하는

등 빠른 속도로 성장한 것인데요. 특히, 지난 2월 한 달간 증권업계 CMA 계좌가 19만 7천 개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속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가입자 연령대별로 보면, 모바일 플랫폼 이용률이 높고 상대적으로 증권 서비스 경험이 적은

2030세대가 전체의 68.4%를 차지했으며, 특히 자산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사회초년생(25-34세)의

비중이 39.2%에 달했는데요. 카카오 플랫폼에 대한 익숙함, 편의성으로 2030 세대가 빠르게 서비스에

주목한 것으로 보입니다. 

 

핀테크 기업, 카카오페이 증권 김대홍 대표는 “자산관리에 관심 갖기 시작하는 2030 젊은 층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권 계좌 개설이 이뤄지고 있다”라며 “조만간 금융에 대한 전문지식 없이도 카카오페이 플랫폼에서 재미있게

이용할 수 있는 색다른 투자 방식을 선보일 예정으로, 기존 증권 서비스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투자 문화를

만들어나가겠다”라고 밝혔는데요.


'카카오페이 자산관리 서비스 확대'

핀테크 기업, 카카오페이는 사용자의 금융 자산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통합조회를 자산 및 지출 분석까지 가능한

‘자산관리’ 서비스로 확대한다고 밝혔는데요.

카카오페이는 이를 시작으로 여러 금융기관에 흩어져 있는 각종 데이터 조회부터 개인화된 금융자산 분석, 금융정보 맞춤 관리, 상품 추천 등 마이데이터 시대에 맞춰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페이는 ‘통합조회’를 시작으로 각 금융 데이터를 연결하는 허브로서 자리매김해 왔다”라며 “‘자산관리’는 실제 사용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결과이며, 앞으로 카카오페이와 카카오가 보유한 다양한 금융・비금융 정보에 빅데이터 역량을 접목해 더욱 정교한 자산관리 컨설팅을 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핀테크 기업들이 방대한 데이터를 맞춤형으로 분석하여 고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는데요.

카카오페이 증권 및 카카오페이가 앞으로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개선 및 확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